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Block Chain9

[Block Chain] 블록체인 월렛 개발 강의 블록체인 월렛을 개발하는 좋은 강의가 있어서 주말 동안 수강했다. 이 강의는 ethers.js를 가지고 계정을 생성하고 다른 계정으로 송금하는 는 등의 내용을 학습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크롬 익스텐션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기존에 웹 개발 스택하고 다른 것이 아니라, 그냥 동일하다. 크롬 익스텐션 옵션에 맞게 설정해주고 화면만 작게 만들면 끝이다. 크롬 익스텐션은 클라이언트 코드와 동일하게 동작하는데, 백엔드와 연동하는 처리를 추가할 수 있다. (그냥 프론트엔드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 강의에서 DAPP과의 연동을 다루지는 않아서 그 부분은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하지만, 강의 퀄리티에는 꽤 만족한다. 원하는 포트폴리오를 만들기 위한 기반 지식을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다음.. 2023. 11. 20.
[Block Chain] IPFS 프로토콜 정리 InterPlanetary File System는 분산 파일 시스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 하이퍼미디어, 파일 공유 P2P 네트워크이다. IPFS는 콘텐트 어드레싱을 사용하여 IPFS 호스트에 연결하는 전역 이름공간의 개별 파일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위키백과) What is IPFS IPFS is a modular suite of protocols for organizing and transferring data, designed from the ground up with the principles of content addressing and peer-to-peer networking. Because IPFS is open-source, there are multiple impl.. 2023. 11. 19.
[Block Chain] 그라운드X 클레이튼 강의 정리 3 21. 웹 프로그래밍 1 ~ 2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는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고안된 언어이다. SPA 개념이 적용되어 페이지를 바꾸지 않고 현재 페이지 내에서 수정하는 패러다임 web2.0과 함께 활용도가 많아졌다. 22. 응용 사례 비즈니스, 정산, 교환의 매개체, 자산의 역할 23. 공급망 관리 현대 사회에서는 공급망 관리가 필수적, 재료를 어디서 가져올지, 어디에서 가공할지 등등 월마트 Food Trust chain 이런 정보들을 블록체인으로 기록하고 검증. 24. 해외 송금/정산 중앙화된 시스템을 거쳐 갈 수 밖에 없음. 수수료, 즉시성 떨어짐 은행권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처리 25. 지역 화폐 기업이 시스템적으로 돈을 아낄 수 있다면? 이걸하면 얼마를 아끼고? 보.. 2023. 11. 4.
[Block Chain] 그라운드X 클레이튼 강의 정리 2 10. 트랜잭션 External Account: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카운트 Contract Account: 스마트 컨트랙트를 표현하는 어카운트 실제 상태를 만들고, 실질적으로 처리를 하는 것은 External Account 트랜잭션의 목적은 '블록체인 상태의 변경'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이 지정되어 있음.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에 넣기까지 연산비용이 필요하다. (GAS) 클레이튼은 가스비를 적어낼 수 없음. 사용자끼리 경쟁X 11. 트랜잭션과 서명 트랜잭션은 서명과 함께 한다. 센더에게 필요한 가스비가 있는지 파악. (balance) 12. 블록체인별 트랜잭션 클레이튼 트랜잭션 논스: 어카운트가 몇 번째 트랜잭션을 보내는지 from: sender to: 받는 사람 value: 몇 개의 토큰을 전송 t.. 2023. 11. 4.
[Block Chain] 그라운드X 클레이튼 강의 정리 1 1. 블록체인의 정의와 구성, 해시 함수 블록체인: 정보를 블록이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 형태로 묶은 저장 기술 해시함수: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 하나의 데이터는 하나의 해시값만 존재. 길이는 동일 16진수 문자를 32개를 저장하여 해시를 표현 => sha256 2. 블록체인의 구조, 주요 용어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 포인터를 가진다. 뒤의 블록이 앞 블록의 해시 포인터를 가진다. 헤더는 블록을 설명하는 정보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한다. 블록 높이(뎁스), 블록 생성 주기 생성주기에 따라 나의 트랜잭션이 처리될지 안 될지가 결정된다. 적어도 N초가 걸린다. 이런 느낌. 3. 블록체인 네트워크 p2p 네트워크이다. 모든 노드가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2023. 11. 4.
[Block Chain] 블록체인 관련 용어 정리 3 1. 블록(block) 예를 들어, 비트코인의 경우 10분간 진행된 약 2,000건의 거래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서 관리한다. 라이트코인의 경우 약 2분 30초 동안 진행된 거래내역을 하나의 블록으로 만들어 관리한다. 하나의 블록을 다음 블록과 이어주기 위해 해시를 이용하여 체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묶은 후 시간 순서에 따라 체인으로 엮은 것을 블록체인(blockchain)이라고 한다. 가장 많고 가장 빨리 작업을 한 사람이 블록에 기록하고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투표권을 더 많이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작업증명이라는 것인데 여기에서 작업이란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을 말한다. 기 때문이다. 블록이 권위체인에 깊숙이 들어가 있을수록 다음과 같은 사실이 성립된다.. 2023. 10. 31.
[Block Chain] 블록체인 관련 용어 정리 2 1. 토큰과 코인, 그리고 메인넷 독자적인 생태계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토큰/코인이 분리된다. 메인넷이란 기존 사용 플랫폼(이더리움, 퀸텀, 네오 등)에서 나와 독립적으로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메인넷은 독립적인 플랫폼으로서 암호화폐 거래소, 개인 지갑 거래간 트랜잭션(처리)을 비롯해 생태계를 구성하고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는 것 자체 프로토콜(protocol)인 메인넷을 보유하고 있다면 '코인'(이더리움, 퀸텀, 리플, 네오 등), 다른 플랫폼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진 것을 토큰(이오스, 트론, 비체인 등)이라고 한다. http://wiki.hash.kr/index.php/%EB%A9%94%EC%9D%B8%EB%84%B7 2. 작업증명과 지분증명의 차이 블록체인이라는 네트워크(Network)가 유.. 2023. 10. 31.
[Block Chain] 블록체인 관련 용어 정리 1 1. 블록체인 탈중화된 앱으로 DB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보안성이 뛰어나며 특정 기관의 간섭을 받기 어렵다. 거버넌스라는 투표 시스템이 있다.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들의 투표로 결정할 수 있다. 비용이 높다. 코드 수정이 어렵다. 느리다. 현재는 게임 위주로 Dapp이 활용되나 나중에는 더 많은 영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IOT나 AI등의 기술과의 연계도 기대할 수 있을 것. 전통적인 어플리케이션의 형태와 다르다. 2. Web3.0 1.0이 PC로 접속, 2.0이 모바일, 3.0은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는 개념이다. 3.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분산형 파일 시스템) 데이터를 수많은 노드에 호스팅하고 백업할 수 있.. 2023. 10. 31.
블록체인 기반 포트폴리오 계획 이번에 개발할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dapp이다. 팀노바 수강생들의 작품을 보면서 나는 어떤 방향으로 만드는 것이 좋을지 고민했다. 주로 웹기반으로 만드는 경우와 모바일로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나는 모바일로 골랐다. 나는 블록체인 익스플로어나 월렛을 굳이 만들고 싶지 않다. NFT로 할 수 있는 컨텐츠에 힘을 주는 것이 더 마음에 들어서 그렇게 할 생각이다. 팀노바 수강생들을 보면 블록체인을 fork해서 메인넷을 만든 것도 있는데, 나는 클레이톤 기반으로 작업을 해볼 생각이다. 1. 작업할 내역 회원가입/로그인, 게시판 NFT 민팅, 게임 or 메타버스 환경 거래내역 조회 + (필요시) AR 2. 사용할 기술 스택 블록체인: Klaytn, Solidity 백엔드: node.js expres.. 2023.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