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8

인간은 왜 클루지를 생각하지 않을까 라는 책을 다시 한번 읽고 있다. 책에서 말하는 '유전자 오작동(클루지)'라는 개념을 여전히 잘 모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유전자 오작동은 우리의 뇌가 가진 인지적 편향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자신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상대의 말에 동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합리적인 판단을 막는 심리기제이다. 만약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고 싶었다면 감정에 치우친 사고를 할 것이 아니라, 상대의 말이 논리적인지 파악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내가 최근에 빠진 클루지는 무수히 많다. 일단 단기적인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장기적인 이익을 생각하지 않았다. 연봉 몇 백 만원 더 받는 것이 굉장히 크게 느껴지긴 하지만, 사실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그리 큰 이득은 아닐지도 모른다. 연봉은 낮더.. 2025. 6. 18.
개발자가 정치질을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난 글에서는 회사 업무를 통해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력 2~3년 급의 실력을 갖추는 것이 좋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신입 개발자가 경력급의 실력을 갖추는 것은 고도로 훈련된 케이스가 아니면 현실적이지 않다. 신입 개발자가 경력 개발자급의 퍼포먼스까지 갖출 필요는 없지만, 더 좋은 자리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건 뭐 연봉도 마찬가지고...) 나는 신입 개발자치고 혹은 나이치고 나쁘지 않은 실력을 갖춘 사람이었다. 그러나 회사에서 정치질을 상당히 많이 당한 편이다. 내 경험을 바탕으로 꼰대 회사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무엇인지 공유할 생각이다. 나는 당신을 '회사에서 정치질을 당하길 원하지 않는 개발자'라고 가정하고 글을 쓰고 있다. 1. 회사가 신입 개발자에게 '너무 높은 기준.. 2025. 6. 14.
회사에서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개발자로서 실력을 '폭풍성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기본적으로 개발 실력이 좋아야 한다. 단순히 회사에 입사할 수 있는 수준을 갖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적어도 2~3년 경력을 갖춘 정도의 실력은 쌓는 것이 좋다. 그래야 회사에서 던져주는 일도 쳐내면서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만들어진다. 이는 마치 효율적인 사냥을 위한 던전을 들어가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적절한 레벨을 갖춘 상태로 던전에 들어가면 물약도 적당히 쓰고 몰이 사냥도 가능하다. 그러나 내 수준이 그 정도가 아니라면, 물약은 물약대로 다 쓰고 몰이 사냥이고 뭐고 안 죽으면 다행이다. 이런 상황은 회사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개발 실력이 좋으면 회사에서 던져주는 일을 '물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할 수 있다. 실.. 2025. 6. 6.
스타트업 서비스에 대한 생각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은 그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자신에게 돌아오는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치를 명확히 설명할 수 없는 제품은 망한다. 진짜 망한다.... 일단 어떻게든 끌어왔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드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다시 보니 이 분야에서 자청님은 클라스가 다른 사람이었다...) 예를 들어 채용 사이트라고 해보자. 사람을 고용하려는 회사나 취업을 하려는 사람들이 채용 사이트를 이용한다. 특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들을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기 좋다.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층이 있고 그들이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 되는 것이다. 단순히 '~한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끼리의 모임' 같은 느.. 2025. 5. 3.
[Bitcoin] 채굴과 합의 채굴채굴은 새로운 비트코인이 통화 공급량에 추가되는 과정이다. 또한 채굴을 통해 사기거래나 이중지불 문제로부터 비트코인을 보호한다. 채굴자들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처리 능력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비트코인을 받는다. 채굴자들은 새로운 거래들을 승인한 후 전 세계에 존재하는 장부에 승인된 거래들을 기록한다. 새 블록에는 지난 블록 이후에 발생한 거래들이 들어 있으며 10분마다 채굴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된다. 블록의 일부가 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된 거래는 '승인' 되었다고 간주되며, 승인된 거래를 전송받은 새로운 소유주는 해당 비트코인을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채굴자들은 채굴 작업에 대해 2가지 종류의 보상을 받는다. 하나는 새 블록 각각에서 새로운 코인을 생성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해당 블록 내에.. 2025. 4. 30.
[Bitcoin] 블록체인 블록체인블록체인 데이터 구조는 거래가 담겨있는 블록이 그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형태의 정돈된 목록이다. 블록체인 내에 있는 블록 각각은 해시를 이용해서 식별된다. 해시는 블록의 헤더에서 SHA256 해시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생성된다. 각 블록은 블록헤더에 있는 '이전 블록 해시' 필드를 통해 이전 블록(부모 블록)을 참조한다. 블록은 단 1개의 부모 블록을 가지지만 일시적으로 여러 개의 자식 블록을 보유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자식 블록은 블록체인 분기가 발생하는 동안 생성된다. 블록체인 분기란 다른 채굴자들에 의해 거의 동시로 다른 블록들이 발견되는 경우 발생하는 일시적 상황이다. 결국 단 하나의 자식 블록만이 블록체인의 일부가 되며 블록체인 '분기' 현상은 해결된다. '이전 블록 해시' 필드는 .. 2025. 4. 29.
성장하기 좋은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 다시 생각해보니 내가 너무 약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솔직히 연봉에서 우리 회사가 많이 주는 편은 아니다. 그러나 회사의 문화나 개발 수준을 보면, 다른 회사에 비해 훨씬 성장하기에 좋은 환경인 것은 사실이다. 코드 리뷰 문화가 있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시니어급 인력의 코드를 보면서 어깨너머로 바로 보고 배울 수 있는 환경인 점도 있다. 우리 회사는 오픈소스를 하는데 내가 어떤 작업을 했는지 인터넷에 완전히 공개가 되어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코드를 직접 보여주면서 능력을 어필할 수 있는 회사는 그리 많지 않을 것 같다. 게다가 회사 사람들은 다들 나보다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일단 나보다 학력과 학벌이 좋다. 그리고 내가.. 2025. 4. 28.
[Bitcoin] 거래 스크립트 2 P2PK(Pay to Public Key)P2PK는 P2PKH보다 더 단순한 비트코인 지불 방식이다. P2PK는 공개키가 잠금 스크립트 내에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길이가 훨씬 짧아지게 된다. P2PK의 잠금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다. OP_CHECKSIG 위와 같은 출력값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해제 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이 단순한 서명의 형태다. 해당 거래의 복합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다. 이 스크립트는 CHECKSIG라는 단순한 호출 연산자로, 서명이 정확한 키에 속해 있는 지를 입증한 후 스택으로 TRUE 결과값을 돌려보낸다. OP_CHECKSIG 다중서명다중서명은 N개의 공개키가 스크립트 내에 기록되어 있고, 예상지출 상태를 풀기 위해서는 이 중 적어도 M개 이상의 개인키가 서명을 제공해야 한다는.. 2025. 4. 28.
[Bitcoin] 거래 스크립트 1 거래 스크립트와 스크립트 언어비트코인 클라이언트는 스크립트를 실행해서 거래를 유효화한다. UTXO에 위치한 잠금 스크립트와 해제 스크립트는 스크립트 언어로 작성된다. 대부분의 거래는 'A가 B에게 지불'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P2PKH 스크립트와 동일한 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한다. 스크립트 구성(잠금과 해제)잠금 스크립트는 출력값에 위치한다. 출력값을 소비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요건을 명시하고 있다. 잠금 스크립트에는 보통 공개키 혹은 비트코인 주소가 담겨 있기 때문에 스크립트 펍키(scriptPubKey)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잠금 스크립트를 scriptPubKey로 표현한다. 해제 스크립트는 잠금 스크립트가 출력값에 놓아둔 조건을 해결하여 출력값이 소비될 수 있도록 하는.. 2025. 4. 27.
개발실력에 대한 자격지심 구직을 시작한 2월부터 지금까지 사실 개발 실력에 대한 자격지심이 있었다. 팀노바의 학생들은 너무나도 좋은 결과를 낸다. 팀노바는 개발자 신입 연봉 5천 이상으로만 취업시키는... 사실상 괴물 양성소 느낌의 학원이다. 나는 이들의 성과가 너무 부러웠고 그래서 학생들 작품을 참고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었다. 나도 그런 멋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었다. 그래서 어렴풋이 '연봉 5천 개발자들이 만드는 포폴을 내가 만들었다면, 나도 그 정도 수준의 개발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이다. 솔직히 따라 만들면서 생각보다 어렵다고 느꼈지만 결국 원하는 수준까지 만들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이 정도면 괜찮은 개발자 아닌가?'하는 생각에 자부심을 느낄 정도는 되었다. 근데 직접 시장에 내 이력서를 돌려보니 그.. 2025. 4. 26.